맨위로가기

로열 오드넌스 L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열 오드넌스 L7은 1950년대에 개발된 105mm 강선 전차포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방 세계의 주력 전차포로 널리 사용되었다. 20파운드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영국 센추리온 전차에 처음 탑재되어 화력 증강에 기여했다. L7은 영국, 독일,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주력 전차의 주포로 채택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현재는 비대칭전에서의 보병 지원 등 통상 유탄 사용의 필요성으로 인해 L7과 호환되는 포를 탑재하는 신형 차량의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5 mm 포 - 지자총통
    지자총통은 고려 말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시대의 화포로, 약통, 격목통, 부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부리의 죽절이라는 마디는 한국 총통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고, 장군전과 수철연의환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전통적인 유통식 점화 방식을 사용했다.
  • 105 mm 포 - 10.5 cm 38호 대공포
    10.5 cm 38호 대공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에서 사용된 10.5cm 구경의 대공포이며, 요새나 도시 방어용으로 사용되거나 궤도 고사포로 활용되었고, 140mm 장갑을 관통하는 철갑 유탄을 사용하며 분당 12~15발 발사가 가능했다.
로열 오드넌스 L7
개요
센추리온 마크 5에 장착된 L7
센추리온 마크 5에 장착된 L7
유형강선포 전차포
원산지영국
사용운용국 참조
설계 시기1950년대 후반
제조사로열 오드넌스 팩토리
BAE 시스템
제원
무게1,282 kg
길이5.89 m
포신 길이52 구경, 5.46 m
구경105 mm (4.13 in)
탄약105×617mmR
발사 속도분당 10발 (최대)
최대 사거리4,000 m

2. 역사

L7 전차포는 1950년대 영국의 로열 오드넌스에서 개발되었다. 이는 냉전 시대에 등장한 센추리온 전차에 탑재되었던 오드넌스 QF 20파운더포의 후계였다.

2차 세계 대전 동안 영국과 미국은 강력해지는 독일 전차에 대항하고, 이후 냉전 시대의 소련 전차에 대항하기 위해 고구경 포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미국은 M103을 도입하여 120mm 주포를 장착했지만, 탄약이 너무 커서 두 명의 장전수가 필요했다.[2] 영국도 자체적인 중전차인 정복자를 개발하고 L1 120mm 주포를 장착했다.

L7은 바르샤바 조약기구 군의 전차 (IS-3T-54)를 격파하기 어렵다고 판단된 20파운드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이 시작되었으며, 20파운드포의 포탑에 탑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로 인해 센추리온은 최소한의 개조로 화력을 강화할 수 있었고, 이는 컨커러 중전차의 존재 의의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1956년헝가리 봉기에서 T-54의 등장은 L7 개발을 촉진하는 원인이 되었다. 완성된 L7은 1959년부터 센추리온에 탑재되어 시험을 거쳤고, 같은 해 시험이 종료되었다.

L7은 전후 세대 영국 전차의 무장뿐만 아니라, "서방 국가" 대부분의 2세대 주력 전차 (Main Battle Tank)의 주포로 채택되었다. 냉전 기간 동안 개발된 전투 차량의 표준 주포이자 구식 전차의 전투력 증강을 위한 개조 부품으로 사용되었다. 자동 장전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기도 했으며, 스웨덴 육군의 Strv.103이나, 미국 육군의 장륜 장갑차인 스트라이커 MGS를 기반으로 한 기동포 시스템 (스트라이커 MGS)의 주무장으로도 채택되었다.

L7을 처음 채택한 전차는 센추리온 Mk.5/2였으며, 이후 서독레오파르트 1 시리즈, 일본74식 전차, 스웨덴의 Strv.103, 미국의 M60 전차 시리즈, 이스라엘의 메르카바 및 대한민국의 K1 전차 (88식 전차) 등 많은 국가에서 신형 전차의 주포로 채택되었다. 또한, M47 패튼, M48 패튼, T-54/55 등 구형 전차의 화력 강화를 위해 L7으로 주포를 교체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오토 멜라라프랑스의 GIAT는 독자적인 105mm 구경전차포를 개발했지만, L7의 성공으로 인해 이들 포에서도 L7 계열의 포탄 (105×617mmR영어)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로열 오드넌스는 후계로 로열 오드넌스 L11 120mm 강선 전차포를 개발했지만, 치프틴 및 챌린저 1에만 채용되어 L7만큼 널리 보급되지는 못했다. 성형 작약탄 (HEAT)과 날개 안정 분리철갑탄 (APFSDS) 등 신세대 대전차탄에서는 강선포가 탄두를 과도하게 회전시키는 경향이 있어, 제3세대 이후의 주력 전차에서는 활강포가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냉전 이후 비대칭전에서 보병 지원 등 통상 유탄의 사용 기회가 많아지면서 105mm 포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존재한다. L7과 그 탄약과 호환성을 갖는 포를 탑재하는 Mobile Protected Firepower영어 그리핀 Ⅱ 및 16식 기동전투차 등의 신형 차량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

2. 1. 영국

1950년대부터 포트 할스테드의 무장 연구 및 발전 설립국의 지휘 아래 L7 포의 기획안이 시작되었다. 1956년 포는 첫 실험 단계를 거쳤다.[14] 1956년 헝가리 혁명에서 소련 T-54 전차가 영국 대사관으로 돌진한 사건은 L7 개발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 육군은 오드넌스 QF 20파운더 포가 T-54를 상대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105mm 주포를 선택했다.[15]

1959년 L7 주포에 대한 첫 시험이 이루어졌다. 센추리온 마크 7은 L7을 탑재한 첫 전차였다. 이 실험에서 L7은 센추리온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했다. 1959년부터 영국군은 양산했던 센추리온 전차의 주포를 L7 포와 새로운 장갑으로 지속적으로 교체했으며, 센추리온 전차의 새로운 디자인은 생산 당시 L7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16]

2. 2. 기타 사용

L7은 독일의 레오파르트 1, 일본의 74식 전차, 이스라엘의 마가크 및 메르카바, 스웨덴의 Strv 103 등 다양한 국가의 전차에 장착되었다.[1] 특히 이스라엘, 인도, 이집트, 이라크, 중국 등은 노획하거나 개량한 동구권 전차(T-54/T-55, 69식 전차 등)에 L7을 채택하여 화력을 향상시켰다.[1]

3. 구조

※M68은 수직 쇄정식반동유압 완충기 (후좌장 290mm)


4. 제원 (L7A1)

항목제원
구경105mm
길이5.588m[4]
포신 길이52 구경 (5.55m)[4]
반동 길이290mm
무게1kg
발사 속도분당 10발 (최대), 분당 6발 (일반)[5]
포신 수명200 EFC (첨가제 사용 시 800)
최대 유효 사거리1800m (APDS), 4000m (HESH)[4]
탄약105×617mmR


5. 파생형


: 스웨덴의 Strv.103 전차용으로 개발되었으며, 62구경장(6.51m)의 포신과 자동 장전 장치를 갖추고 있다.
: 미국의 M60 패튼 전차용으로 개발되었다. 수직 쇄정식의 둥근 폐쇄기와, L7과는 다른 설계의 포 연기 배출기를 채용하고 있다.
: M1 에이브람스 전차용으로 개발되었다.
: 스트라이커 MGS에 탑재되어 주로 화력 지원에 사용된다. 충격 흡수 장치를 개량하여 반동을 줄였고, 자동 장전 장치에 대응하기 위해 포미부를 상하 반전시키는 등의 개수를 했다.

5. 1. 영국

영국의 표준 양산형은 L7A1이다.[9] 서독(당시)의 레오파르트 1 전차용으로 개발된 L7A3은 부각을 취할 때 폐쇄기 상부의 각이 포탑 상부에 닿지 않도록 개설계되었다.[9] L7A3을 기반으로 개발된 저반동포인 LRF는 Low-Recoil Force영어두문자어로, 1982년-1983년에 걸쳐 로열 오드넌스사가 사적인 벤처로 개발했다.[9] 현재 LRF를 채용한 것은 미국의 캐딜락 게이지사가 수출용으로 개발한 스팅레이 경전차뿐이다.[9]

5. 2. 중국



: 중국에서 생산된 L7이다. 오스트리아에서 라이선스를 획득했다.[9]

: L7A3의 중국 라이선스 생산 모델로, 자체 개발한 교체 가능한 열차폐를 사용한다. 79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80식 전차의 프로토타입에 장착되었다.[9]

: 79식을 개량한 모델이다. ZPL-81A는 열차폐가 개선되었다. 59-II식 전차에서 처음 등장했다.

: 81식을 개량하여 포신을 연장하고, 구성 재료를 개선한 모델이다. 83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59D1식, 63HG식, 79식 전차 및 88B식 전차에 장착되었다.

: 83식을 개량하여 포신을 62구경으로 연장한 모델이다. 59D식 전차와 88A식 전차에 장착되었다.

88A식 전차에 장착된 62구경 ZPL-94


: 83A식 강선포를 개량한 모델로, 자체 개발한 저반동 머즐 브레이크와 경량 설계를 적용했다. 63A식 수륙양용 전차에 장착되었다. 98식 강선포로도 알려져 있다.

: 98식 강선포를 개량한 모델로, ZTD-05와 ZTL-11에 장착되었다.[10]

5. 3. 기타

; 79/81/81A/83식

: 중국이 오스트리아에서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생산한 L7이다.

; ZPL-79

: L7A3의 중국 라이선스 생산 모델로, 자체 개발한 교체 가능한 열차폐를 사용한다. 79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80식 전차의 프로토타입에 장착되었다.[9]

; ZPL-81/A

: 79식을 개량한 모델이다. ZPL-81A는 열차폐가 개선되었다. 59-II식 전차에서 처음 등장했다.

; ZPL-83/A

: 81식을 개량하여 포신을 연장하고, 구성 재료를 개선한 모델이다. 83식으로도 알려져 있다. 59D1식, 63HG식, 79식 전차, 88B식 전차에 장착되었다.

; ZPL-94

: 83식을 개량하여 포신을 62구경으로 연장한 모델이다. 59D식 전차, 88A식 전차에 장착되었다.

; ZPL-98

: 83A식 강선포를 개량한 모델로, 자체 개발한 저반동 머즐 브레이크와 경량 설계를 적용했다. 63A식 수륙양용 전차에 장착되었다. 98식 강선포로도 알려져 있다.

; ZPL-98A

: 98식 강선포를 개량한 모델이다. ZTD-05, ZTL-11에 장착되었다.[10]

; L74

: 스웨덴의 Strv.103 전차용으로 62구경장(6.51m)의 포신과 자동 장전 장치를 갖추고 있다.

6. 운용

L7은 냉전 시대에 등장한 센추리온 전차에 탑재되었던 오드넌스 QF 20파운더포의 후계로 영국의 로열 오드넌스에서 1950년대에 개발되었다.

전후 세대의 영국 전차 무장뿐만 아니라, 이른바 "서방 국가"의 대부분의 2세대 주력 전차 (Main Battle Tank)의 주포로 채택되었으며, 냉전 기간 동안 개발된 전투 차량의 표준 주포이자 구식 전차의 전투력 증강을 위한 개조 부품으로 사용되었다. 수동 장전 포뿐만 아니라, 자동 장전 장치와 조합하여 사용되었으며, 스웨덴 육군의 Strv.103이나, 미국 육군의 장륜 장갑차인 스트라이커 MGS를 기반으로 한 기동포 시스템 (스트라이커 MGS)의 주무장으로도 채택되었다.

L7 및 파생형은 다양한 국가의 전차 및 장갑차량에 사용되었다. 특히, 중국은 자체적으로 다양한 개량형을 생산하여 운용하였다.

전차주포
59식 계열ZPL-79, ZPL-81, ZPL-81A, ZPL-83A, ZPL-94 (일부 업그레이드 변형)
69식/79식 계열ZPL-79, ZPL-83, ZPL-83A (일부 업그레이드 변형 및 방글라데시형)
80/85/88식 계열ZPL-79, ZPL-83A, ZPL-94
62식GZPL-98 개조
63식 계열ZPL-83A, ZPL-98 (일부 업그레이드 변형)
MMT-40미얀마에서 제작된 WMA301 포탑과 주포 장착
WMA301, ST-1, ST-2ZPL-94 개조
ZTD-05, ZTL-11ZPL-98A
ZTQ-15ZPL-94 개조


6. 1. 주요 운용 국가 및 전차

다음은 로열 오드넌스 L7 전차포를 운용한 주요 국가 및 전차 목록이다.

국가전차
센추리온, 비커스 MBT
레오파르트 1, M48A2GA2
M60 패튼, M1 에이브람스 초기형, M48A5, 스팅레이 경전차, M1128 스트라이커 MGS
74식 전차
센추리온(쇼트), 마가크, 메르카바 Mk.I/II, 티란-4/5
K1 전차, M48A5K
59식 전차, 69/79식, 80/88식, 85식 전차, 15식 경전차, 11식 105mm 장륜 돌격차, 05식 수륙양용전차



6. 2. 호환 포

7. 현대적 의의

냉전 이후 비대칭전 상황에서 보병 지원 등 통상 유탄 사용 기회가 많아지면서 105mm 포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존재한다. L7과 호환되는 포를 탑재하는 그리핀 II, 16식 기동전투차 등 신형 차량 개발이 이어지고 있다.[1]

참조

[1] 문서 Starry
[2] 문서 Hunnicut/Firepower
[3] 문서 Dunstan
[4] 웹사이트 09 M68 105mm Gun http://www.williamma[...]
[5] 서적 Jane's Armoured Fighting Vehicle Retrofit Systems 1993-94 Jane's Information Group 1993
[6] 서적 U.S. Marine Corps School Of Infantry SOI Complete Training Materials School Of Infantry Training Command
[7] 서적 105mm ammunition for rifled tank guns Military agency for standardization 1998-03-25
[8] 서적 DATA SUMMARY TANK LEOPARD C2 MBT https://buyandsell.g[...] National Defence 2023-02-11
[9] 웹사이트 铸剑 英伦名炮书传奇:L7型105mm坦克炮的东方后代(组图) http://roll.sohu.com[...] 2015-10-20
[10] 간행물 Direct Assault Support of Expeditionary Interventions http://monch.com/ebo[...] 2020-06
[11] 웹사이트 New hybrid 105mm light tank enters into service with Myanmar army https://www.armyreco[...] 2023-01-29
[12] 웹사이트 M47 Patton in Italian Service https://tanks-encycl[...] 2021-02-09
[13] 문서 Starry
[14] 서적 Centurion Tank: 1943-2003 Osprey Publishing
[15] 문서 Zaloga 2004
[16] 문서 Dunst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